정부가 7월 야심차게 내놓은 K뉴딜정책에 대한 일환으로 미래에셋에서 10.7에 민간에서 처음으로 K뉴딜지수 추종 ETF가 출시되었습니다. 정부가 정책형으로 내놓는 뉴딜펀드는 내년초에 출시예정이고, 그 전에 이 ETF들이 어떤 흐름을 갈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 이제막 출시된지라 적정가격의 여부는 시장에 맡기는게 맞다고 봅니다. 지금 갑자기 판단하는건 오버지요. 다만 종목구성, 비중에 대해 알아볼필요는 있습니다. 사실 알주식( 개별종목) 매매에 부담을 느끼는 직장인이나 자영업자등 본업이 있는 사람들에게 ETF가 출시되는건 바람직한 것일수 있습니다. 수시로 매수가 가능하고 본인이 판단하기에 적절하다고 보는 타이밍에 넣으면 되니까요.
1. 5종류 펀드의 종목구성과 운영주체
먼저 BBIG (배터리, 바이오, 인터넷, 게임)는 4가지를 다 묶은 ETF로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배터리만 묶은 ETF, 바이오만 묶은 ETF, 인터넷만 묶은 ETF ,게임만 묶은 ETF
이렇게 총5개입니다. 그리고 민간영역에선 미래에셋이 3개월 독점권을 얻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다른 자산운용사에서도 11월에 출시예정이라고 합니다.
2. 각 ETF별 종목구성비율
(1)TIGER BBIG K뉴딜 ETF (구성종목,비중)
(2)TIGER 2차전지 뉴딜ETF (구성종목,비중)
(3)TIGER 바이오 뉴딜ETF (구성종목,비중)
(4)TIGER 인터넷 뉴딜ETF (구성종목,비중)
(5)TIGER 게임 뉴딜ETF (구성종목,비중)
종합해보면, bbig k뉴딜지수 4개영역 시총상위 3개종목으로 총12개종목 구성되어있는데, 비중이 골고루 담겨있습니다.
종목별시총을 보면 더존비즈온, 펄어비스 제외하고는 다 시총이 높은종목이라 논리적으로도 문제가 없습니다.
2차전지ETF의 경우에는, 종목별 구성이 시총가중비율이 아니고 상위3개가 같은 비율이군요. 현재 시총은 엘지화학(48조), 삼성SDI(30조), SK이노베이션(13조) 시총은 낮은 더존비즈온(3조)이 카카오(30조), 네이버(50조)와 동일 비중입니다.
더존비즈온의 주가에 따라 변동성이 좀 클수도 있겠습니다.
인터넷ETF는 케이엠더블유,서진시스템,유비쿼스홀딩스 내년실적 더 좋을 종목이고 아프리카TV도 준수한 전망이라 전망자체는 나쁘지않을듯 합니다. 전체적으로 PER가 높은게 흠이긴 하지만 지금 유동성땜에 안올라간게 없으니깐요.
게임ETF는 펄어비스(시총2조7천)가 넷마블(13조), 엔씨소프트(16조)와 비슷한비중이고, 지인피셜로 웹젠도 실적전망 좋고, 개인적 전망으로 NHN도 저평가종목이라고 보기때문에 전체적인 전망은 나쁘지않다고 봅니다.
'금융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PBR로 보는 한국 주식시장의 전망 (1) | 2024.12.11 |
---|---|
한국 신흥국 MSCI 지수 리밸런싱 편입 예상종목과 편출 예상종목 (0) | 2020.10.19 |
(나만의 노하우)빅히트 엔터 사례로 본 주린이 신규상장주식 좋은주식 종목선정 쉽게 빨리하는법 (0) | 2020.10.07 |
주식시장 쌍바닥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차트와 심리) (0) | 2020.10.04 |
미대선전망)조바이든 관련 테마주 넥스트에라 에너지 (0) | 2020.10.03 |